본문 바로가기
서정갈래/고전시가

가시리 해석 분석 고려가요 해설

by 민정 쌤 2025. 8. 12.
반응형

고려가요 「가시리」는 작자 미상의 3.3.2조 형식의 3음보 시가로, 이별의 슬픔과 그리움을 절절하게 표현한 작품입니다.
이 노래는 총 4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순한 표현 속에 깊은 감정과 상징성이 담겨 있습니다.

특히 「가시리」는 고등학교 내신과 수능에서 자주 출제되는 고전시가 중 하나로, 김소월의 「진달래꽃」이나 「서경별곡」과 함께 비교 분석 문제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학사적으로도 중요한 가치를 가지며, 『시용향악보』에는 ‘귀호곡(歸乎曲)’이라는 제목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1. 작품 원문과 해석

원문에는 고어가 사용되어 현대어 화자가 읽기에 다소 어렵지만, 해석을 통해 그 의미를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첫 연은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는 / 버리고 가시리잇고 나는’으로 시작하여, 상대가 떠나려 하는 상황을 반복적으로 호소합니다.

이 반복적 구조는 이별의 아픔이 얼마나 간절한지를 보여주며, ‘위 증즐가 대평성대’라는 후렴구는 당시의 음악적 운율과 시대 분위기를 함께 담아냅니다.
마지막 연의 ‘도셔오쇼셔’는 ‘돌아오소서’라는 뜻으로, 이별의 순간에도 재회를 바라는 화자의 마음을 절묘하게 드러냅니다.


2. 주제와 정서

이 작품의 주제는 사랑하는 이를 떠나보내는 서러움과 재회의 염원입니다.
화자는 떠나는 이를 붙잡고 싶지만, 억지로 잡아두면 마음이 상해 다시는 돌아오지 않을까 두려워합니다.

이처럼 화자의 태도는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존중과 배려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는 단순한 이별 노래를 넘어 성숙한 사랑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또한, 작품 속 이별은 단순히 개인적 감정에 그치지 않고, 시대적 불안 속에서 사랑과 인연을 지키고자 하는 간절함을 담고 있습니다.


3. 문학사적 의의

「가시리」는 고려 속요 중에서도 구전성과 서정성이 뛰어난 작품입니다.
후렴구 ‘위 증즐가 대평성대’는 단순한 흥얼거림이 아니라, 당대의 번영과 안녕을 기원하는 축원의 의미를 지니며, 작품에 독특한 분위기를 부여합니다.

이러한 점에서 「가시리」는 단순한 연가를 넘어 고려 시대 서민과 궁중 음악의 교차점에 서 있는 작품이라 평가받습니다.
또한 ‘진달래꽃’과 비교하면, 두 작품 모두 이별을 주제로 하지만, 「가시리」는 떠나는 이를 붙잡는 마음을 표현하고, ‘진달래꽃’은 떠나는 이를 보내주는 태도를 보여줍니다.


4. 교육적 활용과 시험 대비 포인트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와 수능에서는 「가시리」가 자주 등장합니다.
출제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 형식: 3.3.2조, 3음보, 고려속요
  • 주제: 이별의 슬픔과 재회의 소망
  • 표현 기법: 반복법, 후렴구 사용, 대구법
  • 비교 작품: 김소월 「진달래꽃」, 고려가요 「서경별곡」

시험에서 ‘가시리’가 나오면, 반드시 후렴구의 기능, 화자의 태도, 현대시와의 비교를 함께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5. 마무리

「가시리」는 단순히 옛 노래가 아니라, 지금 읽어도 가슴 깊이 와 닿는 보편적 사랑과 이별의 이야기입니다.
짧은 시어 속에서 느껴지는 절제된 표현과 반복의 미학은, 현대 시가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정서를 담고 있습니다.

이별이란 언제나 아픈 것이지만, 그 속에서 사랑하는 이를 존중하는 마음을 배울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작품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빛을 발하고 있습니다.

 

💡 이 글이 흥미로우셨다면 아래 글도 추천드려요.

 

고교학점제 5등급제 내신변화 교육과정 개편 입시 전략

2025년을 앞두고 고등학교 교육의 패러다임이 완전히 바뀌고 있습니다.단순히 성적만으로 평가받던 시대는 지나갔습니다. 2022 교육과정 개편을 기점으로, 고등학교 교육은 큰 전환점을 맞이하게

kkotnyangyissaem.tistory.com

 

 

문학 분석 해설 문제 자료 공유

1. 문학 분석 해설 자료가 필요한 이유최근 국어 공부에서는 단순 암기보다 작품의 구조와 의미를 파악하는 문학 분석 능력이 중요합니다.특히 수능 국어, 내신, KBS 한국어능력시험 등에서는 작

kkotnyangyissaem.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