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도 바윗돌도 없는’이라는 시를 들어보셨나요?
이 시는 작가 미상의 작품으로, 제목부터 독자의 궁금증을 자극합니다.
바다의 메마른 땅, 아무것도 없는 공간을 배경으로 인간 존재의 고독과 갈망을 상징적으로 그려내고 있지요.
이 글에서는 ‘나무도 바윗돌도 없는’ 시의 해석, 주제, 그리고 이 시가 던지는 철학적 메시지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원문과 현대어 풀이
[원문]
나모도 돌도 바히 없슨 뫼헤 매게 조친 가토리 안과,
대천 바다 한가온데 일천 석 시른 배에,
노도 일코 닷도 일코 뇽총도 근코 돛대도 것고 치도 빠지고,
바람 부러 물결치고 안개 뒤셧거 자자진 날에,
갈 길은 천리만리 남고 사면이 거머어득 져믓
천지적막 가치노을 떳는데, 수적 만난 도사공의 안과,
엇그제 님 여흰 내 안이야 엇다가 가을하리오.
[현대어 풀이]
나무도 바윗돌도 없는 산에 매에게 쫓기는 까투리의 마음과,
넓은 바다 한가운데, 일천 석 실은 배에,
노도 잃고 닻도 잃고, 용총줄도 끊어지고, 돛대도 꺾이고 키도 빠지고,
바람 불고 물결 치고 안개가 뒤섞인 흐린 날에,
갈 길은 천리만리 남았고, 사방은 어둡고,
천지가 적막한데 해적까지 만난 도사공의 마음과,
엊그제 임 여읜 내 마음을 어디에 견주어 보겠습니까?
💡 주제와 시의 의미: 임을 잃은 절망, 그 감정을 무엇에 비유할 수 있을까
이 시의 핵심 주제는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로 인한 깊은 슬픔’입니다.
화자는 자신이 처한 감정을 두 가지 비유로 표현하고 있어요.
- 매에게 쫓기는 까투리의 마음
- 숨어야 할 나무도 바윗돌도 없는 산에서 쫓기는 까투리는 생명의 위협 앞에 놓인 절체절명의 공포를 상징합니다.
- 해적 만난 도사공의 마음
- 무거운 짐을 실은 배가 노도, 닻도, 키도 없이 폭풍우 속에서 길을 잃고, 급기야 해적까지 만난 상황은 인생의 통제력을 완전히 상실한 절망감을 나타냅니다.
이 두 극한 상황을 통해 화자는 ‘임을 잃은 내 마음’이 얼마나 괴롭고 슬픈지를 간접적으로 드러냅니다.
🔍 시어 분석 – 상징과 비유의 장치들
나모도 돌도 바히 없슨 뫼 | 의지할 곳 없는 현실, 고립된 상태 |
매게 조친 가토리 | 극한 공포 속에 놓인 존재 (화자의 마음) |
대천 바다 한가온데 | 광활하고 고립된 세상, 인생의 여정 |
일천 석 시른 배 | 무거운 짐을 진 인생 또는 슬픔 |
노도 잃고 닻도 잃고… | 통제력 상실, 절망적 상황 |
수적 만난 도사공 | 절망 속에서도 살아야 하는 존재 |
님 여흰 내 안 | 죽음이나 이별로 인한 사랑의 상실감 |
이처럼 시 전체는 점층법과 열거법, 그리고 강한 대비를 통해 슬픔을 더욱 과장하며 표현합니다.
이는 독자에게 감정적 공감을 유도하고, 시적 울림을 극대화하는 장치로 작용하지요.
✨ 마무리하며 – 마음이 무너질 때, 이 시조를 기억하세요
‘나모도 돌도 바히 없슨’은 단순히 슬픈 시가 아닙니다.
삶의 어떤 순간, 의지할 곳 하나 없이 모든 것이 무너졌다고 느껴질 때…
그때 이 시조가 당신의 감정을 대신 말해주는 듯한 위로가 될 수 있습니다.
까투리처럼, 도사공처럼, 화자처럼 –
우리는 모두 삶의 폭풍우 속에서 자신만의 ‘키’를 다시 붙잡고 싶은 순간을 마주하니까요.
💡 이 글이 흥미로우셨다면 아래 글도 추천드려요.
제망매가 분석 월명사 원문 해석 뜻
신라시대의 대표적인 향가 중 하나인 〈제망매가〉는 월명사가 지은 작품으로, 죽은 누이를 향한 애틋한 슬픔과 그를 초월하려는 종교적 깨달음을 담고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제망매가〉의
aa.forumj.co.kr
가을무덤 제망매가 기형도 월명사 비교 분석 해설 해석
‘죽은 누이에 대한 슬픔’, 시대가 달라도 문학은 이 정서를 아름답고 절절하게 담아냅니다.이번 글에서는 기형도의 현대시 〈가을 무덤 – 제망매가〉를 중심으로, 신라 향가 〈제망매가〉와
aa.forumj.co.kr
💌 국어 분석, 해설, 문제 자료 요청은 https://open.kakao.com/o/gEZB6nBg 로 부탁드립니다.
문학 분석 해설 문제 자료 공유
1. 문학 분석 해설 자료가 필요한 이유최근 국어 공부에서는 단순 암기보다 작품의 구조와 의미를 파악하는 문학 분석 능력이 중요합니다.특히 수능 국어, 내신, KBS 한국어능력시험 등에서는 작
aa.forumj.co.kr
'서정갈래 > 고전시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백년 도읍지를 해석 원문 주제 현대어 풀이 (0) | 2025.09.11 |
---|---|
속미인곡 분석 정철 해설 가사 해석 (0) | 2025.09.11 |
십년을 경영하여 송순 해설 분석 해석 (2) | 2025.09.01 |
제망매가 분석 월명사 원문 해석 뜻 (1) | 2025.08.31 |
상춘곡 분석 가사 해석 해설 (6) | 2025.08.14 |